기후정보포털을 통해 제공 중인 시나리오 자료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
<미래기후전망-행정구역-기본분석> | <과거기후변화-관측자료-최근과거비교> |
|
|
<미래기후전망-행정구역-기타분석-분석정보> | <미래기후전망-격자-이미지> |
<그림 1.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을 통해 제공되는 분석 기능> |
기온·강수량·극한기후지수와 농업·에너지·보건 분야 기후변화 응용정보, 연안지역 해수면 상승 등 지역 특색에 맞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 기후변화 전망 및 상세분석 보고서 발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요소는 기후요소(기온, 강수량 등), 극한기후지수(27종), 응용정보(RCP 32종, SSP 17종)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표 1).
구분 | 전지구 | 한반도 | 남한상세/극한기후지수 | 행정구역 |
---|---|---|---|---|
시나리오 | RCP(4종) | |||
시간범위 | 1860~2100년 | 1950~2100년 | 2011~2100년 | 2001~2100년 |
공간 해상도 |
135km | 12.5km | 1km | 광역 및 기초지자체 |
시간 해상도 |
월, 연 | 일, 월, 연 | 일, 월, 연(극한기후지수) | 일, 월 |
정보종류 |
기온(최고/ 최저/ 평균), 강수량, 상대습도, 풍속 |
기온(최고/ 최저/ 평균), 강수량, 상대습도, 풍속 |
기온(최고/최저/평균), 강수량, 기온극한지수 (열대야, 폭염, 서리․결빙․한파․여름일수, 식물성장기간, 일교차 등), 강수극한지수 (호우일수 강수강도, 최대무강수지속기간, 5일최다강수량 등) |
기온(최고/최저/평균), 강수량, 상대습도, 현지해면기압, 평균최대풍속, 극한기후지수 |
구분 | 전지구 | 동아시아 | 한반도 | 남한상세/극한기후지수 | 행정구역 |
---|---|---|---|---|---|
시나리오 | SSP(4종) | SSP1-2.6/SSP5-8.5 | SSP(4종) | ||
시간범위 |
|
|
|
|
|
공간 해상도 |
· 대기 : 135km · 해양 : 100km |
25km | 8km | 1km | |
시간 해상도 |
월, 연 | 일, 월, 연 | 월 | 일, 월, 연 | |
정보종류 |
· 대기요소 : 기온(최고/ 최저/ 평균), 강수량, 상대습도, 풍속 · 해양요소 : 해수면온도, 해수면고도, 해빙면적, 표층염분 |
기온(최고/최저/ 평균), 강수량, 상대습도, 풍속 |
· 해양요소 : 해수면온도, 표층염분 |
기온(최고, 최저, 평균), 강수량, 상대습도, 평균풍속, 일사량, 극한기후지수, 응용지수 |
극한기후현상은 기온이나 강수량 등이 평년값을 크게 벗어난 상태로 일정 기준값(상대적, 절대적) 보다 높거나 낮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국가별로 기준이 다릅니다(표 1).
출처 | 극한기후 정의 및 제공현황 |
---|---|
IPCC |
10퍼센타일 이하 혹은 90퍼센타일 이상 해당하는 값이 발생하는 현상 |
IPCC 특별보고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극한현상 및 재해 위험 관리) |
관측된 값 범위의 상한(또는 하한) 기준값보다 높은(또는 낮은) 요소의 값이 발생하는 것으로 기준값의 정의는 다양함 ※ 10, 5, 1 퍼센타일 미만이거나 훨씬 더 낮은 값들을 흔히 사용발생확률(퍼센타일)과 특정 기준값(영향과 관련)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음 극한기상은 1일 미만∼수 주일의 시간 범위 이내의 현상, 극한기후는 여러 가지 기상 현상이 누적되어 생기는 현상을 의미함 |
WMO |
확률분포에서 끝단에 위치한 값으로 20년에 한번 나타나는 현상 |
호주기상청 |
1, 3 퍼센타일 이하 혹은 97, 99퍼센타일 이상 해당하는 값이 발생하는 현상 |
영국기상청 |
기후요소별 월별 최댓값 및 최솟값 제공(월별 최고/최저기온, 1∼4일최다강수량 등) |
프랑스기상청 |
20퍼센타일 이하 혹은 80퍼센타일 이상 해당하는 값이 발생하는 현상 |
일본기상청 |
극한기온: 1.83σ를 벗어날 경우 극한강수: 월강수량이 기준기간(30년)의 최대/최소값을 벗어날 때 경우 |
극한기후지수는 극한기후를 수치로 산출하여 정량적으로 나타낸 지수로 ETCCDI(27개), IPCC(15개), STARDEX(10개) 제공 지수 종류가 다릅니다(표 2).
지수명 | 내용 | ETCCDI (27종) |
IPCC (15종) |
STARDEX (10종) |
기상청 (20종) |
---|---|---|---|---|---|
폭염일수 | 일최고기온 33℃ 이상인 날의 연중 일수 | ○ | |||
한파일수 | 일최저기온 -12℃ 이하인 날의 연중 일수 | ○ | |||
온난일 | 일최고기온이 기준기간 90퍼센타일 초과한 날의 연중 일수 | ○ | ○ | ○ | ○ |
온난일 계속기간 |
일최고기온이 기준기간의 90퍼센타일 초과한 날이 최소 6일 이상 지속된 날의 연중 일수 | ○ | ○ | ○ (최대기간 포함) |
|
온난야 | 일최저기온이 기준기간 90퍼센타일 초과한 날의 연중 일수 | ○ | ○ | ○ | |
한랭일 | 일최고기온이 기준기간 10퍼센타일 미만인 날의 연중 일수 | ○ | ○ | ○ | |
한랭야 | 일최저기온이 기준기간 10퍼센타일 미만인 날의 연중 일수 | ○ | ○ | ○ | ○ |
한랭야 계속기간 |
일최저기온이 기준기간의 10퍼센타일 미만인 날이 최소 6일 이상 지속된 날의 연중 일수 | ○ | ○ (최대기간 포함) |
||
일최고기온 최 대 |
일최고기온의 연중 최대값 | ○ | ○ | ||
일최고기온 최 소 |
일최고기온의 연중 최소값 | ○ | ○ | ||
일최저기온 최 대 |
일최저기온의 연중 최대값 | ○ | ○ | ||
일최저기온 최 소 |
일최저기온의 연중 최소값 | ○ | ○ | ||
서리일수 | 일최저기온이 0℃ 미만인 날의 연중 일수 | ○ | ○ | ○ | ○ |
결빙일수 | 일최고기온이 0℃ 미만인 날의 연중 일수 | ○ | ○ | ||
여름일수 | 일최고기온이 25℃ 이상인 날의 연중 일수 | ○ | ○ | ||
열대야일수 | 일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의 연중 일수 | ○ | ○ | ○ | |
식물 성장기간 |
일평균기온이 5℃ 보다 높은 날이 6일 이상 지속된 첫 날부터 5℃ 미만인 날이 6일 이상 지속된 첫 날까지 사이의 연중 일수 | ○ | ○ | ||
일교차 | 일최고기온과 일최저기온 차이값의 연평균 | ○ | ○ | ||
1일최다 강수량 |
연속된 24시간 동안 기록된 최대 강수량 | ○ | ○ | ||
5일최다 강수량 |
5일 동안 기록된 최대 강수량 | ○ | ○ | ○ | ○ |
강수강도 | 연중 습윤일수(일강수량 1mm 이상)로 나누어진 연 총강수량 | ○ | ○ | ○ | ○ |
강수일수 | 일강수 80mm(우리나라 기준) 이상 기록된 날의 연중 일수 | ○ | ○ | ||
강수일수 (>10mm) |
일강수 10mm 이상 기록된 날의 연중 일수 | ○ | |||
강수일수 (>20mm) |
일강수 20mm 이상 기록된 날의 연중 일수 | ○ | |||
최대무강수 지속기간 |
연중 일강수량이 1mm 미만인 날의 최대 지속일수 |
○ | ○ | ○ | |
최대강수 지속기간 |
연중 일강수량이 1mm 이상인 날의 최대 지속일수 |
○ | ○ | ||
95퍼센타일 강수일수 |
일강수량이 기준기간의 상위 95퍼센타일 보다 많은 날의 연중 일수 |
○ | ○ | ○ 90%ile/ 강수량, 일수, 강도 |
|
99퍼센타일 강수일수 |
일강수량이 기준기간의 상위 99퍼센타일 보다 많은 날의 연중 일수 |
○ | |||
연강수량 | 연 총 강수량 합계 | ○ |
극한을 정의하는데 절대적 기준 또는 상대적인 기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퍼센타일(%ile)이란 일정 기간 내에 발생한 기상요소 값(기온, 강수량 등)을 오름차순으로 나열하여 100등분 하였을 때, 해당값이 몇 번째인지를 나타내는 백분위수를 의미합니다(그림 1).
<그림 1. 2018년 서울의 일최고기온 365일을 오름차순으로 정렬>
응용시나리오는 활용분야에 따라 수자원·보건·농업·재해·산림․동물생태로 나뉘며, 분야별 특성에 맞는 요소 및 시간·공간 해상도 자료로 산출되었습니다(표 1).
구분 | 수자원 | 보건 | 농업 | 재해 | 산림 | 동물생태 |
---|---|---|---|---|---|---|
대상 시나리오 |
RCP 4종 | |||||
생산요소 | 중권역별 강수량, 유출량, 잠재증발산량, 유황분석정보 | 열지수, 불쾌지수, 체감온도(AT), 체감추위지수, 열체감지수, Net Effective Temperature(NET), 열사병 발생 위험지수, 온열지수(WBGT) |
생육온도일수, 유효적산온도, 식물기간, 작물기간, 무상기간, 작물 저온요구도, 온습도지수, 기후 생산력지수, 난방도일, 냉방도일, 기준증발산량, 엽면수분지속기간 |
표준강수지수(SPI), 독립호우사상 |
최저 기온지수, 유효 강우지수, 건조강도지수 |
물새류월동 환경지수, 기후변화 심각도지수, 강우열량지수 |
기간 | 2000∼2100년 | 1950∼2005년 2013∼2100년 |
1971∼2100년 2011∼2100년 |
2012∼2100년 | 2011∼2100년 | 2011∼2100년 |
시간 해상도 |
일/월 | 월 | 순(10년평균) | 월 | 연 | 연 |
공간 해상도 |
중권역(104개),73개 지점 | 230개 시군구 | 230개 시군구, 격자(12.5km/1km) |
73개 지점 | 230개 시군구 | 230개 시군구 |
과거기후를 분석하고 싶은데 어떤 자료를 이용해야 하나요?
과거기후를 분석할 때는 보통 30년 이상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ASOS 지점 관측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세한 공간 규모의 비교를 위해서는 격자기후자료인 MK-PRISM1.1(2000-2010년)과 MK-PRISM1.2(2000-2017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MK-PRISM1.2(2000-2017년)는 기간이 길고, 보다 나은 자료 품질 과정을 이용하여 재생산된 자료이지만 RCP 남한상세 시나리오는 MK-PRISM1.1(2000-2010년)을 이용하여 생산되었습니다.
기후정보포털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기후변화시나리오>미래기후전망>격자]에는 오른쪽 상단에 도움말 보기를 참고하면, 제공되는 자료에 대한 설명과 분석방법 등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기후변화시나리오>시나리오 소개>활용 매뉴얼]에 들어가면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매뉴얼’과 ‘격자자료 활용 매뉴얼’이 있으며, 시나리오 활용 사례집 및 가이드도 함께 제공되고 있습니다.
사용기관 | 활용분야 | 사용목적 | 사용자료 |
---|---|---|---|
국립환경과학원 | 정책 | 2050년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적 사회비전연구 | RCP8.5 |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
농업 | 국내 가뭄전망 분석 및 농업가뭄 동일특성지역 도출을 통한 가뭄대응 방향 모색 연구 | RCP8.5 남한상세자료 |
국립산림과학원 | 산림 | 침엽수종의 지리적 분포, 산불 등에 미치는 영향 및 취약성 연구 | RCP8.5 남한상세자료 |
서울대학교 | 산업 | 산업단지 중심 기후변화 취약성의 정량적 평가로 산업계의 효율적인 적응대책수립을 위한 연구 | RCP8.5 남한상세자료 |
원광대학교 | 음식 | 기후변화에 따른 식재료와 관리의 변화를 통해 음식문화 변화 연구 | RCP8.5 남한상세자료 |
고려대학교 | 보건 | 기후변화로 인한 취약계층 사망률 변화 분석 연구 | RCP8.5 남한상세자료 |
<그림 1. 대전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반영 사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