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설 - 적설 연·월평균
※ '22.08. 최신정보 수정 / '23.11. 다음 업데이트 예정
일최심신적설과 눈 현상일수 합계 연평균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13개 지점에 대한 일최심신적설 합계와 눈 현상일수 합계의 연도별
전국 평균을 나타낸 것으로, 추세선은 감소 경향을 보인다.
눈은 동절기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연도별 통계는 동절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예, 적설 1973년 자료는 1973년 10월부터 1974년 4월까지 통계임)
눈은 관측자가 직접 맨눈으로 관측(목측)하는 요소로 조직개편에 따라 춘천과
서산은 북춘천과
홍성으로 각각 관측지점이 변경되어 이 지점의 자료를 연속으로 사용한다.
※ 적설 관측 지점(13개)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일최심신적설과 눈 현상일수 합계 월별평균
국내 13개 지점에 대한 일최심신적설 합계와 눈 현상일수 합계의
월별 전국 평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눈은 겨울철에 발생하는 현상이므로 1973년 10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월별평균이며, 1월 일최심신적설 합계 전국 평균은 11.1cm,
눈 현상일수 합계의 전국 평균은 6.8일로 가장 많았다.
※ 적설 관측 지점(13개)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 분석기간 : 일최심신적설(1973~2021), 눈 현상일수(1973~2021)
눈 시작일과 종료일 기간 변화경향
국내 13개 지점에 대한 눈 시작일과 종료일의 평균 날짜를 나타낸 것으로,
시작일은 늦어지고 종료일은 빨라지고 있다.
※ 적설 관측 지점(13개, 1973~2021)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