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서울에 115년 기상관측 이래 최대 폭우가 기록되면서 서울 강남 지역 등 수도권과 강원 영서 지방에 쏟아진 역대급 폭우로 도심 곳곳이 침수하였고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함.
우리나라 109년(1912~2020년) 기후변화 분석자료에 의하면, 지난 109년간 강한 강수는 증가하고 약한 강수는 감소하였으며, 미래에도 극한 강수현상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우리나라에서 재난 및 인명피해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인 하천 홍수발생과 관련된 유역별 극한 강수량의 미래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탄소 시나리오(SSP5-8.5)의 경우,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율은 현재 대비 21세기 전반기(2021~2040년)/중반기(2041~2060년)/후반기(2081~2100년)에 각각 약 29%/ 46%/ 53%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됨.
< 현재 대비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의 변화율 분포(좌: 저탄소, 우: 고탄소 시나리오) >
권역별로 살펴보면,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율이 50% 이상인 권역의 수는 21세기 전/중/후반기 각각 1개/7개/ 16개로 전망됨.
< 현재 대비 미래 권역별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 전망 >
< 현재(2000∼2019년) 대비 2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율(%) >
< 현재 대비 5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율(%) >
< 현재 대비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