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P 시나리오에 따른 전지구/동아시아/한반도 전망결과를 알려주세요.
전지구 및 동아시아, 한반도, 남한 기후변화 전망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RCP2.6 | RCP4.5 | RCP6.0 | RCP8.5 | |
---|---|---|---|---|
전지구 | +1.3℃ | +2.4℃ | +2.7℃ | +4.0℃ |
동아시아 | +1.2℃ | +2.4℃ | +2.5℃ | +3.8℃ |
한반도 | +1.8℃ | +2.9℃ | +3.0℃ | +4.7℃ |
남한 | +1.7℃ | +2.6℃ | +2.7℃ | +4.4℃ |
RCP2.6 | RCP4.5 | RCP6.0 | RCP8.5 | |
---|---|---|---|---|
전지구 | +2.4% | +4.0% | +3.6% | +4.5% |
동아시아 | +0.6% | +3.7% | +0.8% | +0.9% |
한반도 | +5.5% | +3.3% | +6.8% | +13.1% |
남한 | +6.6% | +6.7% | +11.4% | +13.2% |
한반도와 남한의 기후변화 전망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그림 1. RCP 시나리오에 따른 21세기 한반도의 기온 및 강수량 전망 >
※ 세부 전망내용은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기후변화 시나리오>다운로드>보고서]의 2018년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분석서를 참고하세요.<그림 2. RCP 시나리오에 따른 21세기 남한의 기온 및 강수량 전망>
※ 세부 미래 전망내용은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기후변화 시나리오>다운로드>보고서] 2018년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분석서를 참고하세요.SSP 시나리오에 따른 전지구/동아시아/한반도 전망결과를 알려주세요.
전지구
21세기 말(2081~2100년), 전지구 평균기온은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현재(1995~2014년) 대비 1.9~5.2℃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그림 1).
<그림 1. 현재(1995-2014년) 대비 2000-2100년의 연도별 전지구 평균기온 변화(℃).
음영은 6개 앙상블의 범주를 표시하며, 실선은 앙상블 평균값을 의미함>
기온 상승폭은 육지(2.5~6.9℃)가 해양(1.6~4.3℃)보다 크게 나타나며, 북극의 기온 상승은 육지에 비해 2배 정도(6.1~13.1℃)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21세기 말 전지구 평균 강수량은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현재 대비 5~1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1세기 말 전지구 평균 해수면온도는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현재 대비 1.4~3.7℃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전지구 해수면고도는 46~87cm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아시아
미래 후반기(2081~2100년) 동아시아 연평균기온은 현재(1995~2014년) 대비 2.7~7.3℃ 상승하고 연강수량은 6~1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반도
미래 후반기(2081~2100년) 한반도 연평균기온은 현재(1995~2014년) 대비 2.6~7.0℃ 상승하고 연강수량은 2~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남한상세
미래 후반기(2081~2100년) 우리나라의 연평균기온은 현재(2000~2019년) 대비 2.3~6.3℃ 상승하고 연강수량은 4~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구분 | 전지구(135km) | 한반도(25km) | 남한상세(1km) | ||||
---|---|---|---|---|---|---|---|
기온 | 강수량 | 기온 | 강수량 | 기온 | 강수량 | ||
현재 기후 값 (전지구/한반도 : 1995-2014, 남한: 2000-2019) |
14.4℃ | 1051.5mm | 11.2℃ | 1195.2mm | 11.9℃ | 1328.1mm | |
21세기 전반기 (2021-2040) |
SSP1-2.6 | +1.2 | +3% | +1.6 | -1% | +1.3 | +5% |
SSP2-4.5 | +1.3 | +3% | +1.5 | +1% | +1.2 | +7% | |
SSP3-7.0 | +1.2 | +2% | +1.5 | +2% | +1.3 | +6% | |
SSP5-8.5 | +1.3 | +3% | +1.8 | -2% | +1.5 | +1% | |
21세기 중반기 (2041-2060) |
SSP1-2.6 | +1.7 | +4% | +1.8 | +3% | +1.6 | +7% |
SSP2-4.5 | +2.0 | +4% | +2.5 | +6% | +2.2 | +7% | |
SSP3-7.0 | +2.2 | +4% | +3.1 | +2% | +2.7 | +7% | |
SSP5-8.5 | +2.4 | +5% | +3.2 | +4% | +2.9 | +6% | |
21세기 후반기 (2081-2100) |
SSP1-2.6 | +1.9 | +5% | +2.6 | +3% | +2.3 | +4% |
SSP2-4.5 | +3.0 | +7% | +3.9 | +13% | +3.5 | +15% | |
SSP3-7.0 | +4.3 | +8% | +5.9 | +12% | +5.4 | +13% | |
SSP5-8.5 | +5.2 | +10% | +7.0 | +15% | +6.3 | +16% |
SRES 전망, RCP 전망, SSP 전망의 차이는 어떻게 다른가요?
IPCC 제3차평가보고서(2001)에 사용된 미래 배출량 시나리오 SRES와 제5차평가보고서(2013)에서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영향으로 온실가스 농도를 사용한 RCP와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표 1, 표 2).
시나리오 종류 | RCP | SRES | |||||
---|---|---|---|---|---|---|---|
ppm 농도 | 2.5 | 4.5 | 6.0 | 8.5 | B1 | A1B | A2 |
CO2 기준(ppm) | 420 | 540 | 670 | 940 | 550 | 720 | 830 |
<RCP 시나리오> 기후변화 대응정책과 연계하여 선정 |
<SRES 시나리오> 미래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선정 |
---|---|
RCP2.6 :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을 지구 스스로가 회복 가능한 경우 |
|
RCP4.5 :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되는 경우 RCP6.0 :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 경우 |
B1(지속발전형 사회) : 지역간 격차가 감소, 인구감소, 청정자원 절약기술 도입 A1B(고성장 사회) : 화석에너지와 비화석에너지원 균형, 신기술, 고효율화 기술 도입 |
RCP8.5 : 현재 추세(저감없이)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BAU 시나리오) |
A2(다원화 사회) : 인구증가, 경제성장은 낮고, 환경에의 관심도 상대적으로 낮음. |
새로운 온실가스 경로(SSP)에 따른 전지구 평균기온 및 강수량 변화 폭을 지난 IPCC 제5차평가보고서 기여모델(CMIP5) 결과 및 HadGEM2-AO 결과와의 비교는 아래와 같습니다(표 3, 그림 1).
RCP | SSP | ||
---|---|---|---|
CMIP5 모델 결과(1971-2000년 대비 2071-2100년) | HadGEM2-AO 모델 결과(1981-2010년 대비 2071-2100년) | 신규결과(1995-2014년 대비 2081-2100년) | |
기온 | 1.3-3.7℃ 상승 | 1.3-4.0℃ 상승 | 1.9-5.2℃ 상승 |
강수량 | 3-6% 증가 | 2-5% 증가 | 5-10% 증가 |
<그림 1. 과거(1970-2014년) 및 미래(2015-2100년)의 온실가스 배출 경로 >
SRES, RCP, SSP 전망정보를 비교해 보고 싶어요
항목 | 내용 |
---|---|
사용자료 |
|
분석영역 |
|
분석방법 |
|
분석기간 |
|
현재값(기준값) |
|
<그림 Ⅲ-5. 전지구 시나리오 전지구 영역>
<그림 Ⅲ-6. 동아시아/한반도 시나리오 한반도 영역>
<그림 Ⅲ-7. 남한상세 시나리오 남한 영역>
<그림 Ⅲ-8. 전지구 시나리오 전지구 영역>
<그림 Ⅲ-9. 동아시아/한반도 시나리오 한반도 영역>
<그림 Ⅲ-10. 남한상세 시나리오 남한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