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메인로고

기후정보포털

승인 절차 및 신청 서식

home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 > 승인 절차 / 신청서식
  • 물음표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제도가 무엇인가요? 화살표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제는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 시행(2024.10.)에 따라 운영하는 제도로 개별 기관에서 생산한 기후변화 시나리오가 객관적 기준과 절차에 적합하게 산출 되었는지 전문가가 심사하여 승인하는 제도입니다.

  • 물음표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 화살표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은 개별적 연구목적이 아닌 국가 정책, 사업 등에 활용하고자 시나리오를 생산하는 중앙행정기관, 공공기관, 학계, 민간 등이 대상입니다.

  • 물음표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을 위한 기준은 어떤 것이 있나요? 화살표

    시나리오 승인 기준은 기상청 고시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 기준 및 절차 등에 관한 고시’ 중 별표 1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 기준’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신청하려고 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가 전지구 시나리오인지, 지역 역학적 상세화 시나리오인지, 지역 통계적 상세화 시나리오인지에 따라 승인 기준이 다릅니다.

    시나리오 공간영역, 사용모델, 입력자료, 산출 시공간해상도, 초기조건, 산출기간, 필수변수, 과거 재현성, 데이터 기준 등에 모두 적합하게 생산되어야만 승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 기관에서 발간된 연구보고서와 논문 등을 통해 승인 기준 적합 사항을 증빙할 수 있어야 하며, 승인받으려고 하는 시나리오 데이터를 신청 시 제출해야 합니다.

    <표 1.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승인 기준 >

    표 1.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승인 기준
    항 목 전지구 시나리오 지역 시나리오 (역학적 상세화) 지역 시나리오 (통계적 상세화)
    공간영역
    • 전지구
    • 동아시아(한반도를 포함한 영역)
    • 한반도(남한) 또는 주변해역
    사용모델
    • 전지구 모델
    • 역학 모델
    입력자료 ○ IPCC가 평가보고서에 사용하거나 사용한다고 발표한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 ○ 기상청장이 승인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또는 IPCC가 채택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를 사용할 것
    • 1. 기상청장이 승인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 2. 기상청장이 승인한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 3. IPCC가 채택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 4. IPCC가 채택한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시간해상도
    • 대기: 일별
    • 해양: 일별 또는 월별 (해수면온도는 일별)
    산출
    공간해상도
    • 400㎞ 이하
    • 동아시아(한반도를 포함한 영역): 60km 이하
    • 한반도(남한) 또는 주변해역: 30km 이하
    • 격자: 10km 이하
    • 지점: 종관기상관측지점 62개 이상
    초기조건
    • Spin-up 기간을 제외하고 200년 이상 규준실험의 대기 해양 자료를 초기조건으로 사용
    산출기간
    • 재현: 최근 30년 이상
    • 전망: 현재부터 2100년까지의 기간 포함
    • 재현: 최근 20년 이상
    • 전망: 미래 20년 이상
    • 재현: 최근 20년 이상
    • 전망: 미래 20년 이상
    필수변수
    • 대기: 기온, 강수량, 바람, 습도, 일사
    • 해양: 해수면온도, 해수면높이
    • 대기(기온, 강수량, 바람, 습도, 일사) 또는 해양(해수면온도, 해수면높이)
    • 대기(기온, 강수량) 또는 해양(해수면온도, 해수면높이)
    과거 재현성 ○ 과거 재현기간에 대한 모의 특성 제시(최근 20년 이상 관측 또는 재분석자료와의 비교)
    • 월 기후값에 대한 평균 제곱근 오차, 편차, 상관성, 정규표준편차 제시
    • 관측 및 재분석자료 종류, 검증방법, 상세결과(시계열, 공간분포) 제시 (필수변수에 대해 제출)
    데이터 ○ 형식: NetCDF4 (지점자료는 NetCDF4 또는 ASCII)
    ○ 정밀도: 시간, 위도, 경도는 배정밀도 이상, 변수는 단정밀도 이상 (데이터에는 시간, 위도, 경도, 변수를 포함해야 함)
  • 물음표 시나리오별로 산출해야하는 필수변수가 다른가요? 화살표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산출해야 하는 변수가 있으며 필수변수는 시나리오 구분별로 다릅니다.

    전지구 시나리오는 대기와 해양 변수 모두 산출해야 승인받을 수 있으며 대기 요소의 필수변수는 기온, 강수량, 바람, 습도, 일사이며, 해양 요소의 필수변수는 해수면온도, 해수면높이입니다.

    지역 역학적 시나리오는 대기와 해양 중 하나만 산출해도 승인될 수 있습니다. 대기 요소를 산출한 경우 기온, 강수량, 바람, 습도, 일사가 필수변수이며, 해양 요소를 산출한 경우 해수면온도, 해수면높이가 필수변수입니다.

    지역 통계적 시나리오도 대기와 해양 중 하나만 산출해도 승인될 수 있으며, 대기 요소를 산출한 경우는 기온, 강수량이 필수변수이며, 해양 요소를 산출한 경우 해수면온도, 해수면높이가 필수변수입니다.

  • 물음표 2100년까지 산출해야 승인을 받을 수 있나요? 화살표

    전지구 시나리오의 경우 최근 30년 이상 및 미래 2100년까지 시나리오를 산출해야 승인을 받을 수 있으나 지역 시나리오의 경우 최근 20년 이상, 미래 20년 이상을 산출한 경우 승인받을 수 있습니다.

  • 물음표 과거 재현성 결과가 좋아야 승인받을 수 있나요? 화살표

    과거 재현성은 최근 20년 이상 관측 또는 재분석자료와 비교하여 과거 재현기간에 대한 모의 특성(필수변수의 월 기후값에 대한 평균 제곱근 오차, 편차, 상관성, 정규표준편차)을 제시하여야 하며 사용한 자료 종류, 검증방법, 상세결과(시계열, 공간분포)를 제시해야 승인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재현성 수치에 따라 승인 여부를 판단하지 않습니다.

  • 물음표 필수변수가 아닌 변수에 대해서도 승인받을 수 있나요? 화살표

    필수변수가 아닌 변수에 대해서도 각 승인 기준에 적합하고 시나리오 데이터를 제출하면 승인받을 수 있습니다.

  • 물음표 격자자료가 아닌 지점자료에 대해서도 승인받을 수 있나요? 화살표

    지역 통계적 상세화 시나리오의 경우 지점자료도 승인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지점에 대해 산출한 경우에는 승인신청이 불가하며 기상청 종관기상관측지점 62개 지점*을 포함하여 산출하여야 합니다.

    * 기상청 기후통계지침의 전국 평균값 지점: 속초(90), 철원(95), 대관령(100), 춘천(101), 강릉(105), 서울(108), 인천(112), 원주(114), 수원(119), 충주(127), 서산(129), 울진(130), 청주(131), 대전(133), 추풍령(135), 안동(136), 포항(138), 군산(140), 대구(143), 전주(146), 울산(152), 창원(155), 광주(156), 부산(159), 통영(162), 목포(165), 여수(168), 완도(170), 진주(192), 강화(201), 양평(202), 이천(203), 인제(211), 홍천(212), 태백(216), 제천(221), 보은(226), 천안(232), 보령(235), 부여(236), 금산(238), 부안(243), 임실(244), 정읍(245), 남원(247), 장수(248), 장흥(260), 해남(261), 고흥(262), 봉화(271), 영주(272), 문경(273), 영덕(277), 의성(278), 구미(279), 영천(281), 거창(284), 합천(285), 밀양(288), 산청(289), 거제(294), 남해(295)

  • 물음표 기후변화 시나리오 승인 신청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신청하나요? 화살표

    기상청에서는 매년 시나리오 승인 신청을 받고 있으며 접수 시기는 매년 다를 수 있습니다. 기상청 행정홈페이지 또는 기후정보포털 게시판을 통해 공지하고 있습니다.

    신청에 필요한 서류는 총 4가지로 승인 신청서, 설명자료, 증명자료, 증명자료 목록이며 해당 양식은 접수 시 안내하고 있습니다.

    신청서류는 공문, 이메일, 우편을 통해 제출하면 되고 시나리오 데이터는 하드디스크나 USB에 담아 우체국 택배로 기상청 기후위기협력팀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접수기간이 끝난 후 기상청에서 실무위원회, 승인심사위원회를 개최하여 승인 적합여부를 심사한 뒤 심사 결과를 공지합니다.

  • 물음표 승인 기준 적합함을 증명하는 자료로 발간되기 전 보고서도 인정되나요? 화살표

    승인 적합여부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승인을 받으려는 시나리오가 전문 학술지 또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에서 발간한 연구보고서등에 등재된 사실을 증명하는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전문 학술지 및 연구보고서는 고유식별번호(DOI) 또는 발간등록번호가 부여된 상태여야 하며 내부적으로 작성된 보고서나 발간 전 보고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다만 승인 신청 시에는 발간되지 않더라도 승인심사 전까지 발간될 수 있다면 신청이 가능하며 이 경우 담당 부서 담당자와의 협의가 필요합니다.

  • 물음표 기존에 운영하던 인증제와 다른점이 있나요? 화살표

    기상법에서 운영하던 인증제도가 승인제도로 변경되었으며 기존에는 인증 기준에 적합한 시나리오 모두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로 인증되었으나, 기후변화감시예측법에서는 승인 기준에 적합한 경우 승인받은 시나리오가 됩니다.

    ※ 기상청은 승인받은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단일의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생산함

    승인제에서는 통계적 상세화 시나리오의 시공간 해상도 기준이 추가되었으며 전지구 및 지역 역학적 상세화 시나리오에서 일사량이 필수변수로 추가되었습니다.

    또한 승인제에서는 과거 재현성을 제시된 지표(평균제곱근오차, 편차, 상관성, 정규표준편차)로 산출하여 제시해야 하며 승인받으려는 데이터를 제출해야 합니다.

  • 물음표 기존에 인증 시나리오를 보유하고 있는데 취소가 되는 건가요? 화살표

    기후변화감시예측법 부칙 제3조에 따라 기상법에서 인증받은 시나리오는 승인받은 시나리오로 변경되었습니다.

  • 물음표 승인받은 시나리오와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는 어떻게 다른가요? 화살표

    개별 기관에서 생산한 시나리오가 객관적 승인 기준과 절차에 따라 적합하게 생산되었다면 해당 시나리오는 승인받은 시나리오가 되며 기상청은 승인받은 시나리오을 통합(앙상블)하여 단일의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생산합니다.

    다만 개별 기관에서 생산한 승인받은 시나리오 중 최소한의 표준규격*에 적합한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산출할 예정이며 미래 불확실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앙상블된 값 뿐만 아니라 편차 정보도 함께 제공할 예정입니다.

           * 승인 기준과 표준규격은 다르며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표준규격은 별도 공지 예정임.

    그림 1. 승인받은 시나리오와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그림 1. 승인받은 시나리오와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
  • 물음표 승인받은 시나리오 자료는 공개가 되나요? 화살표

    기상청은 승인받은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산출한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며 승인받은 시나리오에 대한 기본정보(목록, 생산기관 등)는 기후정보포털을 통해 공개할 예정입니다.

담당: 기후위기협력팀 최다솜 / 042-481-9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