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적 연구목적이 아닌 국가 정책 등에 활용하고자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는 국가기관, 대학교, 연구기관, 민간기업 등
IPCC 기준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미래기후변화 정보에 대한 생산방법과 객관성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 제시
(기상청고시 2024-6호 참조)
전지구 및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 산출 시간·공간 해상도, 산출변수 및 기간 등에 대한 기준제시
IPCC1) CMIP2)에 참여하여 고유식별번호3)를 부여받은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다음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본다.
항목 | 기준 | 비고 |
---|---|---|
배출시나리오 | · IPCC가 발표한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 단, 위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지역특성(예: 한반도, 동아시아)을 반영한 시나리오 포함 | · IPCC 평가보고서를 위한 온실가스 시나리오 |
공간영역 | · 전지구 | |
사용모델 | · 전지구 모델 | |
산출 공간해상도 (수평격자간격) |
· 400㎞ 이하 | |
산출 시간해상도 | · 대기: 일별 · 해양: 일별 또는 월별 |
|
규준실험4) 기간 | · 200년 이상 | · Spin-up5) 기간 제외 |
재현·전망기간 | · 재현: 최근 30년 이상 · 전망: 현재~2100년 |
|
산출변수 | · 대기(기온, 강수량, 바람, 습도), 해양(표층수온, 해면고도) 필수변수 포함 | · CMIP에서 산출하는 변수 |
과거 재현성 | · 과거 재현기간에 대한 모의 특성(관측 또는 재분석자료와의 비교) 제시 | · 대기(기온, 강수량), 해양(표충수온, 해면고도) 필수 제시 |
▶역학적 상세화 기준
항목 | 기준 | 비고 |
---|---|---|
초기조건 | ·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로 인증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또는 IPCC에서 채택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
|
공간영역 | · 한반도 또는 동아시아(한반도를 포함한 영역) | |
사용모델 | · 역학 모델 | |
산출 공간해상도 (수평격자간격) |
· 한반도: 30km 이하 · 동아시아: 60km 이하 |
|
산출 시간해상도 | · 대기: 일별 · 해양: 일별 또는 월별 |
|
재현·전망기간 | · 재현: 최근 20년 이상 · 전망: 미래 20년 이상 |
|
산출변수 | · 대기(기온, 강수량, 바람, 습도) 또는 해양(표층수온, 해면고도) 필수변수 포함 | · CMIP에서 산출하는 변수 |
과거 재현성 | · 과거 재현기간에 대한 모의 특성(관측 또는 재분석자료와의 비교) 제시 | · 대기(기온, 강수량) 또는 해양(표충수온, 해면고도) 필수 제시 |
▶통계적 상세화 기준
항목 | 기준 | 비고 |
---|---|---|
초기조건 |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를 초기조건으로 사용 1.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로 인증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2.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로 인증된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3. IPCC에서 채택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4. IPCC에서 채택한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
· 통계적 상세화에 사용되는 기초자료 |
공간영역 | · 한반도 또는 동아시아(한반도를 포함한 영역) | |
재현·전망기간 | · 재현: 최근 20년 이상 · 전망: 미래 20년 이상 |
|
산출변수 | · 대기(기온, 강수량) 또는 해양(표층수온, 해면고도) 필수변수 포함 | · CMIP에서 산출하는 변수 |
과거 재현성 | · 과거 재현기간에 대한 모의 특성(관측 또는 재분석자료와의 비교) 제시 | · 대기(기온, 강수량) 또는 해양(표충수온, 해면고도) 필수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