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지역(과 일부 심해 지역)에서 인근 육지에 대하여 바다위 해면(수위)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비. 그렇게 기록된 해면 수위의 시간 평균한 것으로부터 관측된 상대해면(수위) 경년변화를 구할 수 있다.
흡수(uptake)를 참조하시오.
해양, 육지 또는 얼음 표면의 고도를 측정하는 기술. 예를 들어, 해수면의 고도(지구 중심을 기준으로 하거나 또는 좀더 전통적으로 표준 지구공전타원체의 관점에서)는 센티미터 단위의 정밀도를 가지고 있는 최첨단 레이더 측고기술을 사용하여 우주 상공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측고기술은 조위계와 같이 지표면 수준에 적절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틀과는 상대적으로 측정을 행한다는 장점과 거의 전지구를 측정점위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후는 광범위한 공간 및 시간규모 상에서 변한다. 공간규모는 국지적(100,000 km2 이하) 규모부터 지역적(100,000~1,000,000 km2) 규모, 대륙(1,000,000~10,000,000 km2)까지 다양하다. 시간규모는 계절 규모부터 지질학적 규모(수 억년까지)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것은 4단계 척도(높음, 보통, 낮음, 매우 낮음)를 가진 지수로서,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복사강제력 요인에 대한 과학적 이해의 정도를 특징적으로 나타내도록 고안된 것이다. 각각의 인자에 대하여, 강제력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가정들, 강제력을 결정하는 물리적/화학적 메커니즘에 관한 지식 정도와 정량적인 추정을 둘러싸고 있는 불확실성과 같은 그러한 인자들을 포함하여 기후변화의 강제력의 추정에 대한 신뢰성에 관한 주관적인 판단을 표현한 것이다.
탄수화물(carbohydrate)을 만들기 위하여 식물이 공기로부터 이산화탄소(또는 물에서 중탄산염)을 취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산소를 배출한다. 대기중 이산화탄소에 대해 여러 가지 다른 반응을 가진 여러 가지 경로의 광합성이 존재한다. 이산화탄소 시비(Carbon dioxide fertilisation)를 참조하시오.
기후변화에 관한 UN 기본협약(UNFCCC)에 대한 교토의정서는 1997년 일본 교토에서 열린 기후변화 기본협약 제3차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되었다. 이 의정서에는, 기후변화협약에 포함되어 있는 이행 사항에 추가하여 법적으로 구속력 있는 이행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의정서 상의 부속서 B에 포함된 국가들(OECD에 속한 대부분의 국가들과 시장경제로 전환 중인 국가들)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공약 이행 기간 중에 1990년 수준보다 적어도 5%까지 인위적인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HFCs, PFCs, SF6)의 배출을 줄이는데 동의하였다. 교토의정서는 아직까지 발효되지 못하고 있다(2001년 4월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