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증기 - 가강수량
※ '25.07. 최신정보 수정 / '26.07. 다음 업데이트 예정
국내 고층관측소 연가강수량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기상청 고층관측소(오산, 포항, 광주)에서 00, 12UTC에 관측한 연가강수량
                         (1991~2021)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00, 12UTC 세 지점의 연가강수량값을 
                         살펴보면 오산과 포항보다 광주 지점에서 
 비교적 많은 연가강수량값을 보였으며,
                         세 지점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국내·외 연가강수량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전지구 및 우리나라 연가강수량(1981~2024)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지구 및 우리나라 연가강수량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24년 전지구 및 우리나라 연가강수량은 각각 9430.43, 
                     9932.01 kg/m2 로 나타났다.
			
                	    ※ 전지구 연가강수량 : NCEP/NCAR 재분석 자료 전지구 영역 평균 
                        ※ 우리나라 연가강수량 : NCEP/NCAR 재분석 자료 한반도 영역
                          (30-40°N, 125-135°E) 평균
	                
전지구 가강수량 변화율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1981~2024년 기간동안의 전지구 가강수량 변화율 
                          분포도를 나타낸 것이다.
 가강수량 변화율 분포는 적도지역을 따라 큰 변동성을 
                          보였으며, 열대 서태평양 지역, 남아메리카 북서쪽, 아프리카 서부 지역에서 
                          70 kg·m-2/year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우리나라 주변으로는 중국 중부 및 
                          동부 지역에서 감소영역이 나타났으며 일본과 북서태평양쪽으로 증가영역이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