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g

※ '24.06. 최신정보 수정 / '25.06. 다음 업데이트 예정

기타 온실가스 - 육불화황

국내외 육불화황 월평균농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전지구(1999~2023), 마우나로아(1999~2022), 안면도(2007~2023), 고산(2017~2023), 울릉도(2017~2023)의 월평균 육불화황 농도이다.
2023년 한반도의 육불화황 연평균농도는 안면도, 고산, 울릉도에서 각각 11.4, 11.4, 11.5 ppt 이다. 전지구의 농도가 낮은 것은 북반구에 비해 활발하지 않은 산업활동으로 남반구에서의 육불화황 배출 농도가 낮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출처) 전지구자료: 미국해양대기청(NOAA) (출처) 국내자료: 국립기상과학원 (출처) 국외자료 :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 '24.06. 최신정보 수정 / '25.06. 다음 업데이트 예정

기타 온실가스 - 아산화질소

국내외 아산화질소 월평균농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전지구(2001~2023), 마우나로아(1999~2022), 안면도(1999~2023), 고산(2012~2023)의 월평균 아산화질소 농도이다.
2023년 아산화질소의 연평균농도는 안면도에서 338.0 ppb, 고산에서 337.4 ppb이다. 보통 증가 기울기는 남반구(0.2 ppb/연)에 비해 북반구가 높게 나타나며, 그 이유는 북반구의 인구밀도가 높고 그로 인한 농업 등의 발달이 아산화질소의 증가율을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면도와 고산 또한 주변 지역의 농업활동 등의 영향으로 마우나로아 보다 변동폭이 높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출처) 전지구자료: 미국해양대기청(NOAA) (출처) 국내자료: 국립기상과학원 (출처) 국외자료 :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 '24.06. 최신정보 수정 / '25.06. 다음 업데이트 예정

기타 온실가스 - 염화불화탄소류

국내외 염화불화탄소-11 월평균농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전지구(2000~2023), 마우나로아(1999~2022), 안면도(1999~2022)의 월평균 염화불화탄소류 농도이다.
안면도의 염화불화탄소-11은 점차 감소해 관측을 시작한 1999년(267.9 ppt)에 비해 약 49.8 ppt 감소하여 2022년 연평균농도가 218.1 ppt이다.

(출처) 전지구자료: 미국해양대기청(NOAA) (출처) 국내자료: 국립기상과학원 (출처) 국외자료 :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국내외 염화불화탄소-12 월평균농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염화불화탄소-12는 전세계 추세와 같이 안면도 또한 2002∼2005년에 최고값을 보였으며, 2022년 연평균농도는 489.3 ppt를 나타냈다.
대기 중 체류시간이 다른 두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규제에 대한 실제 반응속도는 늦고, 따라서 감소추이가 상대적으로 늦다.

(출처) 전지구자료: 미국해양대기청(NOAA) (출처) 국내자료: 국립기상과학원 (출처) 국외자료 :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국내외 염화불화탄소-113 월평균농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염화불화탄소-113은 안면도에서 2022년 연평균농도가 68.7 ppt로 2007년(78.8 ppt)과 비교하면 약 10.1 ppt 감소했다.
전지구 평균은 NOAA, 마우나로아는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 안면도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척도를 사용하여 척도에 의한 값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출처) 전지구자료: 미국해양대기청(NOAA) (출처) 국내자료: 국립기상과학원 (출처) 국외자료 :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