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기후지표

기준연도
상대

재현기간별 극값

SSP1-2.6
SSP2-4.5
SSP3-7.0
SSP5-8.5

시계열

10년 평균

SSP1-2.6
SSP2-4.5
SSP3-7.0
SSP5-8.5

시계열

연도별 최대/최소

최소
최대
(일)

시나리오별 최대/최소

최대
SSP1-2.6
SSP2-4.5
SSP3-7.0
SSP5-8.5
최소
SSP1-2.6
SSP2-4.5
SSP3-7.0
SSP5-8.5

시계열

월별/작업강도별 작업 가능일

기준정보
작업휴식시간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작업휴식시간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작업휴식시간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월별/작업강도별 작업 가능일

작업휴식시간비 작업강도
경작업 중등작업 중작업
계속작업 30.0℃ 26.7℃ 25.0℃
매시간 75% 작업, 25% 휴식 30.6℃ 28.0℃ 25.9℃
매시간 50% 작업, 50% 휴식 31.4℃ 29.4℃ 27.9℃
매시간 25% 작업, 75% 휴식 32.2℃ 31.1℃ 30.0℃

기준 정보 : 미래 기후변화 및 복합재해를 고려한 방재기준 가이드라인(행정안전부 가이드 라인, 2017. 12)

극한기후지표

재현기간별 극값

구분 SSP1-2.6 SSP2-4.5 SSP3-7.0 SSP5-8.5
2021
- 2040
2041
- 2070
2071
- 2100
2021
- 2040
2041
- 2070
2071
- 2100
2021
- 2040
2041
- 2070
2071
- 2100
2021
- 2040
2041
- 2070
2071
- 2100

극한기후지표 도움말

극한기후지표

정의

부처 및 기관에서 마련한 방재·안전 관련 기준에 따라 SSP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기반으로 산출한 미래 전망정보

▶ 방재·안전 기준 중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필요성, 산출 가능성 고려하여 3개 부문 8개를 선정하여 산출
시설 설계기준 6개(방재 5개, 국토교통 1개) + 미래 기후노출 1개(국토교통)
  + 야외 작업기준 1개(보건)

산출 정보

- [시나리오] SSP 1-2.6/2-4.5/3-7.0/5-8.5(1km 남한상세 시나리오)

- [산출지점] 행정구역별(광역시도, 시군구, 읍면동/ ‘23년 행정구역 기준)

- [기준별 극한기후지표]

· 시설물 설계기준(6개): 제시된 빈도별(10~200년) 확률강우량* 산출

* 특정 재현기간(10~200년)에 한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강수량을 의미, Gumbel 확률분포형 이용(붙임2)

· 미래 기후노출(1개): 항목별(폭우, 폭염, 가뭄) 미래전망정보 산출

※ 일 80mm 이상 강수일수, 폭염일수, 열대야일수, 일최고기온, 최대무강수지속기간

· 야외 작업기준(1개): 온열지수 및 기준에 따른 작업일수 산출

※ 기온, 습도로 산출 가능한 온열지수(WGBT, Wet-bulb Globe Temperature) 추정식 이용(붙임)

부문 구분 표출 요소 사용 요소 설계 기준 출처
방재 하천시설물
설계기준
배수시설 등 20년, 30년, 50년 빈도 1일최다강수량 20년 빈도 이상 미래 기후변화

복합재해를
고려한
방재기준
가이드라인
(행안부)
국가하천 100년, 200년 빈도 100~200년 빈도
지방하천 50년, 80년, 100년 빈도 50~200년 빈도
하천도시
설계기준
하수관로 10년, 20년, 30년 빈도 10~30년 빈도
빗물펌프장 30년, 50년 빈도 30~50년 빈도
소하천
설계기준
도시 지역 50년, 80년, 100년 빈도 50~200년 빈도 소하천
설계기준
(행안부)
농경지 지역 30년, 50년, 80년 빈도 30~80년 빈도
산지 지역 30년, 50년 빈도 30~50년 빈도
설계강우의
빈도 설정
영구구조물 50년 빈도 50년 빈도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종류·구조·설치
및 유지관리
기준(행안부)
임시구조물 30년 빈도 30년 빈도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정기준
30년 빈도 30년 빈도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정 기준
(행안부)
국토·
교통
도로배수
시설
일반국도 ·암거 배수관: 30년 빈도
·노면, 비탈면: 10년 빈도
·암거 배수관: 30년 빈도
·노면, 비탈면: 10년 빈도
도로설계기준
및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국토부)
산지부 도로 ·암거 배수관: 50년 빈도
·노면, 비탈면: 20년 빈도
·암거 배수관: 50년 빈도
·노면, 비탈면: 20년 빈도
도시부 도로 ·암거 배수관: 50년 빈도
·노면, 비탈면: 10년 빈도
·암거 배수관: 50년 빈도
·노면, 비탈면: 10년 빈도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중
미래
기후노출
항목
폭우 연별, 10년, 30년 평균 일수 일 80mm 이상
강수일수
(호우일수)
-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및
활용에 관한
지침
(국토부)
폭염 폭염일수,
열대야일수
가뭄 일최고기온연최대,
최대무강수지속기간
보건 고열작업 시 작업, 휴식 비율 작업강도별 작업가능일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기반의
온열지수(℃)
기온(온열지수)에 대한
4단계 작업휴식시간비
기준
고열작업환경
관리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참고] 온열지수

정의

온열지수*(WBGT, Wet bulb globe temperature)

* 산업안전 근로자, 운동선수, 군인 등의 직업 의료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국제표준기구(ISO)에 등록된 지수(세계기상기구(WMO)/세계보건기구(WHO) 공동, 2015)인
습구흑구온도를 기반으로 여름철 강한 일사와 약한 풍속을 가정하여 분석한 지수

산출방법

SSP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활용

WBGT 산출식

※ WBGT 산출식 출처: Heatwaves and Health: Guidance on Warning-Systerm Development(WMO-N. 1142)

고열작업 시 작업, 휴식 비율에 따른 극한기후지표

※ 고열작업환경 관리지침(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참고

- 온열지수(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를 활용한 월별/작업강도별 작업 가능일

- 작업강도 기준

· 경작업: 앉아서 또는 서서 기계의 조종을 하기 위해 손과 팔을 가볍게 쓰는 일 등
· 중등작업: 물체를 들거나 밀면서 걸어 다니는 일 등
· 중작업: 곡괭이질 또는 삽질하는 일 등

- 온열지수(℃)에 따른 작업휴식시간비 기준

작업휴식시간비 작업강도
경작업 중등작업 중작업
계속작업 30.0℃ 26.7℃ 25.0℃
매시간 75% 작업, 25% 휴식 30.6℃ 28.0℃ 25.9℃
매시간 50% 작업, 50% 휴식 31.4℃ 29.4℃ 27.9℃
매시간 25% 작업, 75% 휴식 32.2℃ 31.1℃ 30.0℃

※ (예시) 경작업의 경우, 30.6℃ 이상, 31.4℃ 미만일 경우, 매시간 50% 작업, 50% 휴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