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요소 강도 - 발생강도 (전국)

기후요소 빈도 도움말

발생 빈도

정의

- 특정 극한기상현상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며, 주로 특정 임계값을 넘거나 미달하는 일수 또는 지속 기간을 의미함

대상 자료 및 기간

구분 자료 기간 영역 비고
현재 격자기후자료* 2000년~2019년 행정구역별(전국, 시도, 시군구) 연/월별
미래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4종) 2021년~2100년

* MK-PRISM: 기상관측지점(ASOS, AWS)에 관측지점별 거리, 고도, 지향면, 해양도를 고려하여 생산한 1km 고해상도 격자자료
※ 격자기후자료는 미래전망과 비교하기 위해 가공한 자료이므로, 실제 지점별 기상관측자료(ASOS, AWS)와 일치하지 않음

산출 정보

구분 입력 자료 자료 분류 조건 기준 단위 범위
고온 절대기준 일최고기온 일최고기온 기후요소 33, 35, 37, 40 ℃ 이상
일최저기온 일최저기온 25, 27, 29 ℃
상대기준 온난일 일최고기온 극한기후지수 90퍼센타일 이상
저온 절대기준 일최저기온 일최저기온 기후요소 -5, -10, -12, -15 ℃ 이하
상대기준 한랭야 일최저기온 극한기후지수 10퍼센타일 미만
습윤 절대기준 일강수량 일강수량 기후요소 80, 110mm 이상

활용 예시

서울의 기온 35℃ 이상인 날수는
현재(2000~2019년)는 4.3일,
고탄소 시나리오(SSP5-8.5) 21세기 후반기는 79.1일

기후요소 강도 도움말

발생 강도

정의

특정 재현기간* 동안 발생 가능한 극값(예: 1일최다강수량) 또는 특정 극값(예: 일최고기온 40도)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현기간을 의미함

* 특정한 강도 이상의 현상이 평균적으로 몇 년에 한번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

▶ 재현기간 ◇◇년 빈도: 특정 ◇◇년(5년, 10년, …, 200년) 재현기간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극값

▶ 극값 재현기간: 특정 강도의 극값이 다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기

<발생 강도(예시)>

·[극값] 특정 재현기간(5~100년) 빈도로 발생할 수 있는 일최고기온 최댓값(단위: ℃)

·[재현기간] 일최고기온 40℃가 몇 년에 한번 발생할 수 있는 강도인지(단위: 년)

대상 자료 및 기간

구분 자료 기간 영역 비고
현재 준격자기후자료
(격자기후자료*+시나리오)
2000년~2030년 행정구역별
(전국, 시도, 시군구)
연/월별
미래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4종)
2021년~2100년
구분 기간
21세기 전반기 2021년 ~ 2050년
21세기 중반기 2041년 ~ 2070년
21세기 후반기 2071년 ~ 2100년

* MK-PRISM: 기상관측지점(ASOS, AWS)에 관측지점별 거리, 고도, 지향면, 해양도를 고려하여 생산한 1km 고해상도 격자자료

산출 방법: Gumbel 방법론 적용

구분 수식
Gumbel 극단값 이론에서 최대 극단값을 다루는 분포로 주로 최대값 분석에 적합한 분포이며, 위치·규모 매개변수 활용

-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 : μ:위치 매개변수(location), σ: 규모 매개변수(scale)

- 누적분포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누적분포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산출 정보

구분 요소 극값 구분 재현기간 비고
고온 일최고기온 33, 35, 37, 40℃ 5, 10, 20, 30, 50, 80, 100, 200년 Gumbel
저온 일최저기온 -5, -10, -12, -15℃
습윤 일강수량
5일최다강수량

활용 예시

[재현기간 ◇◇년 빈도]

특정 ◇◇년(5년, 10년, …, 200년)
재현기간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극값

고탄소시나리오(SSP5-8.5)에서 서울특별시의
최고기온 특정기간별 재현빈도는 다음과 같다

현재(2000~2019년) 기준으로 10년 기간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고기온 극값(재현기간 10년 빈도)은 38.6℃이며
21세기 후반기 기준(2071~2100년)으로 50년 기간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고기온 극값(재현기간 50년 빈도)은 41.5℃

[극값 재현기간]

특정 강도의 극값이 다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기

고탄소시나리오(SSP5-8.5)에서 서울특별시의
최고기온 특정 극값의 재현기간은 다음과 같다

최고기온 40℃ 재현기간은 현재는 155.6년,
21세기 전반기는 15.7년, 21세기 후반기는 6.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