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통합 극한기후지수

SSP5-8.5 21세기 후반기 - 온난습윤
상대

통합(고온+저온+호우+가뭄) KCEI 시계열 - SSP5-8.5

복합극한기후지수 - 온난습윤

온난과 습윤을 동시에 만족하는 날

SSP1-2.6
현재 (2000~2019)
전반기 (2021~2040)
중반기 (2041~2060)
후반기 (2081~2100)
SSP2-4.5
현재 (2000~2019)
전반기 (2021~2040)
중반기 (2041~2060)
후반기 (2081~2100)
SSP3-7.0
현재 (2000~2019)
전반기 (2021~2040)
중반기 (2041~2060)
후반기 (2081~2100)
SSP5-8.5
현재 (2000~2019)
전반기 (2021~2040)
중반기 (2041~2060)
후반기 (2081~2100)

시계열

시계열 - SSP5-8.5

차트

시기별 분포도

현재
(2000~2019)
21세기 전반기
(2021~2040)
21세기 중반기
(2041~2060)
21세기 후반기
(2081~2100)
SSP1-2.6
SSP2-4.5
SSP3-7.0
SSP5-8.5

복합극한기후지수 도움말

복합극한기후지수

▶ 복합 극한기후지수의 효율적인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지수의 활용방안, 주의사항 등이 포함된 활용가이드를 제공하오니 참고하세요

      ☞ 기후변화 상황지도 > 열린마당 > 사용자 가이드

정의

- 두 가지 극한기후현상이 동시 또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복합기후현상의 빈도를 나타낼 수 있는 지수(IPCC SREX* 참고)

 * The Special Report for Managing the Risks of Extreme Events and Disasters to Advanced Climate Change Adaptation

복합극한기후지수 종류

구분 명칭 정의
기온/강수
복합지수
온난습윤(Warm Wet) 덥고 비가 많이 오는 날의 연중일수
온난건조(Warm Dry) 덥고 비가 오지 않는 날의 연중일수
한랭습윤(Cold Wet) 춥고 비가 많이 오는 날의 연중일수
한랭건조(Cold Dry) 춥고 비가 오지 않는 날의 연중일수
시간지속 복합지수 복합극한고온지수 무더위가 낮과 밤에 지속되어 발생하는 정도를 나타낸 지수

산출 방법

- (기온/강수 복합지수) 온난습윤(Warm Wet), 온난건조(Warm Dry), 한랭습윤(Cold Wet), 한랭건조(Cold Dry)

 ※ (온난) 일평균기온 상위 20%ile 값을 초과하는 날, (한랭) 일평균기온 하위 20%ile 값 미만인 날
  (습윤) 일강수량 상위 20%ile을 초과하는 날, (건조) 무강수일

복합극한기후지수 산출기준
온난습윤 온난과 습윤을 동시에 만족하는 날 온난 : 일평균기온 상위 20%ile 초과하는 날
습윤 : 일강수량 상위 20%ile 초과하는 날
한랭 : 일평균기온 하위 20%ile 미만인 날
건조 : 일강수량 0.1mm 미만인 날

※ 퍼센타일(%ile): 기준기간(MK-PRISM/2000~2019년) 동안의 일평균기온과
일강수량(0.1mm 이상) 자료 사용, 기준기간 동안 매년의 퍼센타일을
산출한 후 기준기간에 대한 평균

온난건조 온난과 건조를 동시에 만족하는 날
한랭습윤 한랭과 습윤을 동시에 만족하는 날
한랭건조 한랭과 건조를 동시에 만족하는 날

- (시간지속지수) 복합극한고온지수: 첫 폭염일(일최고기온 33℃이상)이 발생하고 이것이 열대야(일최저기온 25℃이상)로 연결되어 다음날
두 번째 폭염일로 이어지는 경우

 ※ (예시) 8.1.이 폭염, 열대야 일이고 8.2. 폭염일일 경우, 8.1.은 복합극한고온현상 발생일

활용 방법

- 고온/저온 관련 극한기상현상과 강수/가뭄 관련 극한기상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는 빈도가 온실가스 경로별로 미래에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

- 고온/저온과 강수/가뭄이 동시에 발생했을 때 또는 복합극한고온현상이 발생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들과 연계하여 분석

활용 시 주의사항

- 복합 극한기후지수는 복합현상의 발생빈도를 나타낸 지수로, 지수값의 증가는 발생빈도의 증가를 의미하며,
강도가 강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

- 지역마다 온난/한랭/습윤의 기준이 되는 퍼센타일 값이 다르기에 유의 필요

통합극한기후지수 도움말

통합극한기후지수(KCEI, Korea Climate Extreme Index)

▶ 통합 극한기후지수의 효율적인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지수의 활용방안, 주의사항 등이 포함된 활용가이드를 제공하오니 참고하세요

      ☞ 기후변화 상황지도 > 열린마당 > 사용자 가이드

정의

- 폭염, 한파, 호우, 가뭄의 극한기상현상이 미래로 갈수록 한 해에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를 통합적으로 나타낸 지수, 통합 극한기후지수의 값은
0~4.0 범위로 나타낼 수 있으며(개별 KCEI는 0~1.0 범위), 수치가 클수록 해당 연도의 극한기상현상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함

- 21세기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4가지 극한기상현상에 대하여 각 년도에 어느 정도 빈도로 발생하는지를 100년간 순위를 매긴 지수

산출 방법

- (입력변수) 폭염일수, 한파일수, 호우일수, 최대무강수지속기간

- (지점/기간) 행정구역별(읍면동, 시군구, 시도, 전국)/2000~2100년(2020년 제외)

- 고온, 저온, 호우, 가뭄과 관련된 4가지 극한기상현상의 발생일수를 21세기 연도별로 순위를 매겨 종합점수로 발생빈도를 파악

통합극한기후지수 산출방법
고온 폭염일수 (일최고기온 33℃ 이상) 각 지점별 격자기후자료* 20년(2000~2019년)과
SSP** 80년(2021~2100년)에 대해 4개(고온, 저온, 호우, 가뭄)
극한기후지수의 연도별 순위를 지정(1위~100위)하고
최상위 연도에 1점, 최하위 연도에 0.01점을 부여(0.01점 간격)하여
각 유형별 KCEI 산출 (발생하지 않는 해에 대해서는 0점 처리하여 점수화)

* MK-PRISM: 기상관측지점(ASOS, AWS)에 관측지점별
거리, 고도, 지향면, 해양도를 고려하여 생산한 1km 고해상도 격자자료

** SSP: 공통사회 경제경로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 사용)

저온 한파일수 (일최저기온 -12℃ 이하)
호우 호우일수 (일강수량 80mm 이상)
가뭄 최대무강수지속기간 (일강수량 1mm 미만 최대지속기간)
통합 고온+저온+집중호우+가뭄 각 년도별 4가지 유형의 KCEI에 대한 합계 값

활용 방법

- 통합극한기후지수를 통해 극한기후 발생빈도 변화 추세를 전체적으로 비교하면서, 폭염·한파·가뭄·호우에 대한 극한기후의 발생빈도 변화 추세를
비교

- 시나리오 경로별로 미래로 갈수록 어떤 극한기상현상이 증가하고, 감소하는지에 대한 추세를 비교할 수 있음

- (분석 예시) 저탄소 시나리오(SSP1-2.6)에서는 2000년대의 KCEI가 1.64이며, 2050년대에 2.16으로 증가하였다가 2090년대에 1.89로 감소함
반대로 고탄소 시나리오(SSP5-8.5)에서는 2000년대의 KCEI가 1.63이며, 2050년대에 1.85로, 2090년대에는 2.19로 꾸준하게 증가함

-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요소별로 분석하면 호우와 가뭄의 극한기상현상 발생빈도는 소폭 상승하며, 고온의 극한기상현상 발생빈도는 대폭 증가하지만,
저온의 극한기상현상 발생빈도는 대폭 감소함

활용 시 주의사항

주의사항 설명
행정구역 간의 비교 X 통합극한기후지수는 각 지역에서 시간에 따라 극한기후가 얼마나 발생하는지를
연도별로 순위를 매겨 산출한 지수. A 행정구역의 값이
B 행정구역의 값보다 높다고 해서, A가 더 극한기후가 많이 발생한다고 할 수 없음.

예시) [SSP5-8.5] 2042년 고온 KCEI 비교
(서울 종로구) 고온 KCEI: 0.62, 폭염일수: 58.2일
(서울 송파구) 고온 KCEI: 0.59, 폭염일수: 70.4일

시나리오 경로 간의 비교 X 통합극한기후지수는 각 유형의 연도별 순위로 값이 매겨지기 때문에,
경로별로 1등에 해당하는 값이 달라, 저탄소 시나리오에서의
KCEI 값이 고탄소 시나리오의 KCEI 값보다 높아도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할 수 없음.

예시) 서울특별시 중반기 고온 KCEI 비교
(저탄소 시나리오) 고온 KCEI: 0.60, 폭염일수: 37.7일
(고탄소 시나리오) 고온 KCEI: 0.51, 폭염일수: 54.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