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2
※ '24.06. 최신정보 수정 / '25.06. 다음 업데이트 예정
이산화탄소 - 국내외 연월평균농도
국내 이산화탄소 월평균농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안면도(1999~2023), 고산(2012~2023), 울릉도(2014~2023), 독도(2014~2022)의 이산화탄소 농도 월평균 자료로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계절변동을 보이며, 모든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출처) 국립기상과학원
※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국내외 이산화탄소 연평균농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전지구(1984~2022), 안면도(1999~2023), 고산(2012~2023), 울릉도(2014~2023), 독도(2014~2022)의 연평균 이산화탄소 농도이다.
2022년 이산화탄소 연평균농도는 전지구 417.9 ppm으로 산업화(1750년대) 이전(278.0 ppm) 대비 약 50.3% 증가했다.
안면도는 2023년 427.1 ppm으로 1999년 369.2 ppm 보다 57.9 ppm 증가했다.
최근 10년동안 안면도 이산화탄소 농도의 연평균 증가량은 2.7 ppm/연으로 전지구(2.4 ppm/연)보다 높은 수준이다.
안면도와 고산에서 각각 2012년, 2013년에 처음으로 연평균 농도가 400 ppm을 돌파하였으며, 모든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출처) 전지구: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출처) 국내자료: 국립기상과학원
※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국내외 이산화탄소 월평균농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전지구(1984~2022), 안면도(1999~2023), 마우나로아(1974~2022), 케이프그림(1981~2022), 료리(1987~2023)의 월평균 이산화탄소
농도이다.
전지구 이산화탄소의 월평균농도는 2015년에 400 ppm을 돌파하였고, 2022년 12월 값은 419.9 ppm으로 전지구와 각 지점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출처) 전지구: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출처) 국외자료: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출처) 국내자료: 국립기상과학원
※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국내외 이산화탄소 절대증가값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전지구(2000~2022)와 안면도(2000~2023)의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의 전년대비 증가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2021년~2022년도 사이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값은 전지구 2.2, 안면도 2.3 ppm/연으로 안면도에서의 이산화탄소 증가값이 더 크다.
(출처) 전지구: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출처) 안면도: 국립기상과학원
※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 '24.06. 최신정보 수정 / '25.06. 다음 업데이트 예정
이산화탄소 - 국내 지점별 이산화탄소 평균농도
안면도(1999~2023), 고산(2012~2023), 울릉도(2014~2023), 독도(2014~2022)의 이산화탄소 농도 일평균, 월평균, 연평균 자료로 지점별 농도 변화를
상세히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계절변동과 관측이래 연도별 증가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국립기상과학원
안면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고산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울릉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독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 '24.06. 최신정보 수정 / '25.06. 다음 업데이트 예정
이산화탄소 - 국내 지점별 최근 5년간 이산화탄소 월변화
최근 5년(2018~2023) 동안 안면도, 고산, 울릉도, 독도의 이산화탄소 월별 평균농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모든 관측소에서 비슷한 계절변동을 보이며, 봄철에 최댓값, 여름철에 최솟값을 보인다. 북반구의 경우 주로 육지 생물권이 흡수하는 6~8월에 급격히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계절변동은 이산화탄소의 발생원과 흡수원, 주풍에 따른 이동에 의한 영향을 알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는 이산화탄소의 발생원과 식생 등의 흡수원이 분포하고 있는 내륙에 가까울수록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국립기상과학원
※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안면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고산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울릉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독도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 '24.06. 최신정보 수정 / '25.06. 다음 업데이트 예정
이산화탄소 - 이산화탄소 플럭스
광릉 활엽수림 이산화탄소 플럭스 연적산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광릉수목원 활엽수림에서 관측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플럭스 연적산값(2006~2022)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산화탄소 플럭스 양의 값은 이산화탄소 방출,
음의 값은 이산화탄소 흡수를 의미한다.
광릉 활엽수림과 같은 극상림(climax forest)이자 노경림(old-growth forest)의 경우, 광합성량은 상대적으로 적고 고사목의 분해로 인하여 탄소 흡수와 방출이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06년부터 관측된 이산화탄소 플럭스 결과를 보면 연적산시 약한 이산화탄소 흡원이거나 중립(0 g·cm-2·year-1 내외)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2015년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탄소 발원이 나타나는데 이는 전천일사 증가에 따라 지표면 온도가 증가하고,
생태계 호흡량의 증가가 광합성량의 증가보다 상대적으로 더 커져서 발원이 되었음을 나타낸다(지구대기감시보고서, 2021).
(출처) 국립농림기상센터
(출처) 국립기상과학원
광릉 활엽수림 월적산 이산화탄소 플럭스 월평균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광릉수목원 활엽수림에서 관측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플럭스 월적산값의 월평균값(2006~2022)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개엽 후인 5월부터 6월까지 이산화탄소 흡원으로 나타나다가 7월부터 10월까지 이산화탄소 중립 또는 발원으로 변하였고, 다시 겨울부터 개엽 전까지 이산화탄소 발원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국립농림기상센터
(출처) 국립기상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