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eo

※ '24.05. 최신정보 수정 / '25.05. 다음 업데이트 예정

기온 - 국내외 평균기온 편차

국내 평균기온 편차와 시나리오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평균기온 편차와 미래전망에 대한 시나리오의 변화경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6개 지점의 평균기온 편차는 1912년 -1.9℃, 2023년 1.1℃ 이고, 45개 지점의 평균기온 편차는 1973년 –0.4℃, 2023년 1.1℃, 62개 지점의 평균기온 편차는 1991년 -0.5℃, 2023년 1.1℃로 추세선을 보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 연평균기온편차 : 연평균기온과 평년(1991~2020년 평균)값의 차이

※ 평년값 : (6개 지점) 13.7℃, (45개 지점) 12.8℃, (62개 지점) 12.5℃

※ 6개 지점 : 서울, 인천, 강릉, 대구, 부산, 목포(1912~2023)

※ 45개 지점 : 전국 통계를 대표하는 지점(1973~2023)

※ 62개 지점 : 전국 통계를 대표하는 지점(1991~2023)

※ 6개 지점의 회색선은 편차값을 나타내며, 검은선은 10년 이동평균을 나타낸다.

※ 45개 지점의 주황선은 편차값을 나타내며, 빨강선은 10년 이동평균을 나타낸다.

※ 62개 지점의 붉은선은 편차값을 나타내며, 진한 붉은선은 10년 이동평균을 나타낸다.

※ 1917년은 일부 자료 누락, 1950~1953년은 전쟁 기간으로 자료가 누락되어 있음.

전지구 평균기온 편차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전지구 평균기온 편차(1891~2023)의 변화경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지구 평균기온 편차는 1891년 -0.8℃, 2023년 0.5℃ 이다. 전지구 연평균 100년당 0.73℃의 비율로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있다.

(출처) 일본기상청

※ 연평균기온편차 : 연평균기온과 평년(1991~2020년 평균)값의 차이

※ 가는 선은 관측값을 나타내며, 굵은 선은 10년 이동평균을 나타낸다

※ '24.05. 최신정보 수정 / '25.05. 다음 업데이트 예정

기온 - 현상일수

결빙일수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6개, 45개 지점의 평균 연중 결빙일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45개 지점 전국의 평균 연중 결빙일수는 1973년에 110.9일이었고, 최근 2020, 2021년에 가장 짧은 결빙일수를 보였다(18.3, 18.4일).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결빙일수 : 일최고기온이 0℃ 미만인 날

※ 6개 지점 : 서울, 인천, 강릉, 대구, 부산, 목포(1912~2023)

※ 45개 지점 : 전국 통계를 대표하는 지점(1973~2023)

※ 1917년은 일부 자료 누락, 1950~1953년은 전쟁 기간으로 자료가 누락되어 있음.

열대야일수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45개 지점의 평균 연중 열대야일수를 나타낸 그래프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1973년에 6.6일이었고, 1994, 2018년에 가장 긴 17.7일이었다. 2023년까지 1.4일/10yr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열대야일수 : 밤 최저기온(18:01~다음날 9:00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

※ 45개 지점 : 전국 통계를 대표하는 지점(1973~2023)

냉방도일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6개, 45개 지점의 연평균 냉방도일을 나타낸 그래프로, 시간에 따라 평균기온과 냉방도일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6개 지점의 냉방도일 연평균값은 1912년에 4.3, 1960년에 6.8, 2000년에 8.8로 점차 증가하였다. 1994년에 10.9로 가장 높았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6개 지점 : 서울, 인천, 강릉, 대구, 부산, 목포(1912~2023)

※ 45개 지점 : 전국 통계를 대표하는 지점(1973~2023)

※ 1917년은 일부 자료 누락, 1950~1953년은 전쟁 기간으로 자료가 누락되어 있음.

난방도일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6개, 45개 지점의 연평균 난방도일을 나타낸 그래프로, 시간에 따라 평균기온은 증가하고 난방도일은 감소하고 있다.
6개 지점의 난방도일 연평균값은 1912년에 95.2, 1960년에 82.2, 2000년에 80.8이며 전반적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6개 지점 : 서울, 인천, 강릉, 대구, 부산, 목포(1912~2023)

※ 45개 지점 : 전국 통계를 대표하는 지점(1973~2023)

※ 1917년은 일부 자료 누락, 1950~1953년은 전쟁 기간으로 자료가 누락되어 있음.

※ '23.10. 최신정보 수정 / '24.11. 다음 업데이트 예정

기온 - 기온과 이산화탄소 비교

국내 기온편차와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연평균기온편차(1973~2022)와 안면도 이산화탄소 연평균농도 (1999~2022)를 비교한 것으로, 국내 기온 편차가 증가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국내 전국 1999년의 기온편차는 0.0℃이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369.2ppm 이었다.
2022년의 기온편차는 0.4℃, 이산화탄소 농도는 425.4ppm로 1999년에 비해 각각 0.4℃, 56.2ppm 증가하였다.

(출처) 국내 기온 편차: 기상자료개방포털 (출처) 국내 이산화탄소: 국립기상과학원

※ 연평균기온편차 : 연평균기온과 평년(1991~2020년 평균)값의 차이

※ 45개 지점 : 전국 통계를 대표하는 지점(1973~2022)

전지구 기온편차와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전지구 연평균기온편차(1984~2022)와 전지구 이산화탄소 연평균농도 (1984~2021)를 비교한 것으로, 전지구의 기온편차가 증가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도 증가하고 있다. 1984년의 기온편차는 -0.5℃, 이산화탄소 농도는 344.3ppm 이었고, 2021년의 기온편차는 0.2℃, 이산화탄소 농도는 415.7ppm으로 1984년에 비해 각각 0.7℃, 71.4ppm 증가하였다.

(출처) 전지구 기온 편차: 일본 기상청 (출처) 전지구 이산화탄소: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 연평균기온편차 : 연평균기온과 평년(1991~2020년 평균)값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