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 '24.05. 최신정보 수정 / '25.05. 다음 업데이트 예정
운량 - 전운량 연·월평균
전운량 연평균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13개 지점에 대한 전운량의 연도별 전국 평균을 나타낸 것으로, 운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1994년과 1997년에 4.4할로 가장 적었고, 1985년에 5.6할로 가장 많았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운량 관측 지점(13개) :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전운량 연도별 월평균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13개 지점에 대한 전운량의 연도별 월평균을 나타낸 그래프로 월별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한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운량 관측 지점(13개) :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전운량 월평균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13개 지점에 대한 전운량의 월별 전국 평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름철에는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강수가 잦아 전운량이 많고, 겨울철에는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운량이 적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운량 관측 지점(13개, 1973~2022) :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 '24.05. 최신정보 수정 / '25.05. 다음 업데이트 예정
운량 - 전운량 계급별 변화경향
연간 맑음일수와 흐림일수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13개 지점에 대한 맑음일수와 흐림일수 합계의 연도별 전국 평균값이다.
맑음일수는 약간 증가하고 있으나, 흐림일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전운량 계급 : 맑음(전운량 2.4이하), 구름조금(전운량 2.5∼5.4), 구름많음(5.5∼8.4), 흐림(전운량 8.5이상)
※ 운량 관측 지점(13개) :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계급별 맑음일수와 흐림일수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계절별로는 맑음일수가 겨울철에 가장 많고 여름철이 가장 적으며, 흐림일수는 여름철이 가장 많고 겨울철이 가장 적었다.
봄철만 시간에 따라 맑음일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외의 계절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특히 봄철 흐림일수의 감소 경향이 가장 크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봄(3~5월), 여름(6~8월), 가을(9~11월), 겨울(12월~다음해 1, 2월)
※ 전운량 계급 : 맑음(전운량 2.4이하), 구름조금(전운량 2.5∼5.4), 구름많음(5.5∼8.4), 흐림(전운량 8.5이상)
※ 운량 관측 지점(13개) :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 '24.05. 최신정보 수정 / '25.05. 다음 업데이트 예정
운량 - 연관정보
전운량, 상대습도, 일조시간 연평균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13개 지점에 대한 연도별 전운량, 상대습도 전국 평균과 일조시간 합계 그래프이다.
전운량과 상대습도는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전운량과 일조시간은 반대 경향을 보인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운량 관측 지점(13개) :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전운량, 상대습도, 일조시간 월평균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13개 지점에 대한 전운량, 상대습도, 일조시간의 월평균 그래프로 여름철인 7월에 전운량과 상대습도가 높아 일조시간이 적다.
반면 봄철에는 일조시간이 많으며, 겨울철에는 전운량과 상대습도가 낮지만 해가 떠 있는 시간이 짧아 일조시간이 감소한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운량 관측 지점(13개) :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 자료기간 : 전운량(1973~2022), 상대습도(1973~2022), 일조시간(1973~2022)
전운량과 일교차
※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13개 지점에 대한 전운량과 일교차의 상관관계 그래프이다.
구름은 낮에 태양 에너지를 반사시켜 최고기온을 낮추고, 밤에는 장파를 흡수하여 최저기온을 높이므로 운량이 많을수록 일교차가 적어진다.
(출처) 기상자료개방포털
※ 일교차: 일최고기온과 일최저기온의 차이
※ 운량 관측 지점(13개) : 춘천(→북춘천(2016. 10. 1. 이후)), 서울, 인천, 수원, 서산(→홍성(2017. 11. 1. 이후)),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