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종관기상관측장비(ASOS) 설치지점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별 과거 기후변화의 추세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제공정보

제공지역

· 전국 : ASOS 설치지점 총 95곳

· 남한(6개지점) : 100년 이상 관측 자료가 존재하는 6개 지점

→ 서울, 인천, 대구, 부산, 강릉, 목포/1912년부터 분석 가능

· 남한(45개지점) : 1973년 이후 연속적으로 관측 자료가 존재하는 45개 지점

· 남한(56개지점) : 1973년 이후 연속적으로 관측 자료가 존재하는 56개 지점

· 남한(62개지점) : 1991년 이후 연속적으로 관측 자료가 존재하는 62개 지점

남한 평균값 지점(45개)

속초, 춘천, 강릉, 서울, 인천, 원주, 수원, 서산, 울진, 청주, 추풍령, 포항, 대구,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완도, 강화, 인제, 홍천, 제천, 보은, 천안, 보령, 부여, 금산, 부안, 정읍, 장흥, 해남, 고흥,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 적설 남한 평균값 지점(13개): 춘천, 서울, 인천, 수원, 서산, 청주,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남한 평균값 지점(62개)

속초, 철원*, 대관령, 춘천, 강릉, 서울, 인천, 원주, 수원, 충주, 서산, 울진, 청주, 대전, 추풍령, 안동*, 포항, 군산, 대구, 전주, 울산, 창원*, 광주, 부산, 통영, 목포, 여수, 완도, 진주, 강화, 양평, 이천, 인제, 홍천, 태백*, 제천, 보은, 천안, 보령, 부여, 금산, 부안, 임실, 정읍, 남원, 장수*, 장흥, 해남, 고흥, 봉화*, 영주(272),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거창, 합천, 밀양, 산청, 거제, 남해

※ 56개소는 62개소 중 *지점을 제외함(2021, 기상청 기후통계 지침)

요소

기후요소, 극한기후지수(27종)

지역별로 기후요소, 극한기후지수(27종)의 변화경향과 편차를 분석한 표
구분 종류
기후요소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신적설, 상대습도, 최대풍속, 평균풍속, 최대순간풍속
극한기후지수 폭염일수, 여름일수, 열대야일수, 한파일수, 결빙일수, 서리일수
일교차, 강수강도, 호우일수, 최대무강수지속기간, 5일최다강수량
식물성장기간, 온난일, 온난일계속기간, 최대온난일계속기간, 온난야
한랭일, 한랭야, 한랭야계속기간, 최대한랭야계속기간, 일최고기온연최대, 일최저기온연최대, 일최고기온연최소, 일최저기온연최소, 1일최다강수량, 95퍼센타일 강수일수, 99퍼센타일 강수일수

기간

1905년~(지점별로 다름)

※ 전체기간 평균을 산출할 경우 한국전쟁기간(1950~1953년)은 결측기간으로 분석에서 제외

통계기준

기상청 「기후통계지침」에서 정하는 사항을 따르며 특히, 일평균기온의 경우 정시 관측값(일 8회)을 사용함

요소별 최소자릿수는 「기후통계지침」에서 정하는 사항(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적설, 풍속 모두 소수 첫째자리임)을 따르나 단위기간의 변화율(경향성)은 소수 둘째자리까지 구할 수 있음 [기후통계지침 바로가기]

기후변화 추세분석 시 기준기간은 일반적으로 연대(01~10년)를 원칙으로 함

※ 연대 내 5년 이상 데이터가 확보될 시 해당 연대의 자료를 활용함
(예시) 최근 10년: 2011〜2019년/ 서울의 과거 10년(관측개시연도:1907년): 1911〜1920년

분석방법

최근과거비교

지역별로 최근과 과거의 기후값(10년, 30년 평균)을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최근과 과거의 기후값(10년, 30년 평균)을 비교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표
  과거10년 과거30년 최근10년 최근30년
6개지점 1912-1920 1912-1940 2011-2020 1991-2020
45개 지점 1973-1980 1973-2000
56개 지점 1973-1980 1973-2000
62개 지점 1991-2000 -

기본분석

전국과 지점별로 과거 기후변화를 연별(1년, 10년), 월별, 계절별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변화경향 산출방법

분석자료의 추세율은 최소제곱법을 이용한 선형회귀를 이용

최소제곱법(Method of least squares)

최소제곱법

기울기인 a가 추세율을 나타냄

평년편차 분석

  • - 1961~1990년, 1971~2000년, 1981~2010년 중 선택 가능
  • - 평년값 존재 지점에서만 평년편차 분석 가능

비교분석

두 종류의 지역 또는 기간에 대해 변화경향과 편차를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기타분석

다양한 방법으로 시각화된 기후전망 정보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히트맵 : 지역별(남한6, 남한45, 지점별), 기후요소별로 1905~2018년까지(지점별로 다름)의 과거 기후변화를 히트맵 이미지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히트맵이란?] 수치 대신 색상 코딩 시스템을 사용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시각화하는데 적합한 그래픽 기술입니다. 최소값을 진한 파란색, 최고값을 진한 빨간색으로 표현하여 전체 데이터를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산점도 : 지역별 또는 기간별로 값의 분포를 비교할 수 있는 분석기능입니다.

심볼지도 : 지점별 기후요소 값을 동그란 버블의 크기로 시각화하여 나타낸 지도로 크기가 큰 버블은 큰 값을 의미합니다.

기준값 분석 : 기후요소(기온, 강수)와 극한기후지수(온난일, 한랭야 등 8종)에 대해 원하는 기준 값을 선택하여 조회, 분석할 수 있습니다.

계절길이 : 계절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생물학적·천문학적·기후학적 등 다양하나 기상청은 기온을 이용한 자연계절 기준을 이용하여 과거와 미래의 계절길이 및 계절시작일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도넛그래프와 막대그래프로 결과를 표출할 수 있으며 조건을 추가(2개까지 가능)하여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 - 분석지점/기간 : 남한(6개 지점 평균) 및 ASOS 관측 지점별(92개)/1912년 ~
  • - (참고사항) 계절은 기후학적인 값으로 10년 미만의 기간에 대해서는 계절 시작일을 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따라서 10년 미만의 기간(특히 연별)에 대한 값은 참고용으로만 사용가능함을 안내해 드립니다.
계절 시작일 정보를 제공하는 표
  계절 시작일 정의
일평균기온이 5℃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내려가지 않는 첫날
여름 일평균기온이 20℃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내려가지 않는 첫날
가을 일평균기온이 20℃ 미만으로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는 첫날
겨울 일평균기온이 5℃ 미만으로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는 첫날
(5℃ 미만으로 내려간 후 10일동안 지속되어야 하며, 최저일평균기온 발생일 이전이어야 함)

※ (지점별) 해당 기간(10년/30년/100년)에 대해 평균된 일평균기온을 9일 이동평균하여 계절시작일/길이 산출
※ (전국) 92개 지점별 해당 기간(10년/30년/100년)에 대해 평균된 일평균기온 -> 전국 평균 -> 9일 이동평균하여 계절시작일/길이 산출
※ (9일 이동평균) 계산 당일을 기준으로 앞뒤 4일을 포함하여 평균(1월 초와 12월 말은 날짜가 순환되도록 이어붙여 계산)
※ (결측처리) 1950년 ~1953년 자료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모든 계산에서 제외
※ (윤년) 365일로 계산(2월 29일 제외)

기간 용어 정의

임의기간 : 원하는 기간(연)의 자료를 월, 계절, 연 단위로 나누어 표출할 수 있음

임의누년 : 원하는 기간(연)의 월, 계절 단위의 누적 자료를 표출할 수 있음

격자기후자료 3종(ver 1.1, ver 1.2, ver 2.1)을 이용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 격자기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분포도와 시계열로 조회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표출 이미지와 데이터를 바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 두가지 조건(시나리오, 해상도, 요소, 분석방법, 기간)에 대해 선택하여 결과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위경도 분석
- 격자자료 분포도를 지도 위에 띄워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위경도 지점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고 표출 이미지와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격자기후자료란?] 한반도의 고해상도 격자형 관측자료를 의미하며 75개의 종관기상관측지점(ASOS)과 462개의 자동기상관측지점(AWS)을 포함하여 총 537개의 관측 지점의 자료를 사용하였음. 관측지점 별 거리, 고도, 지향면, 해양도를 고려한 관측자료를 내삽하여 1km 해상도의 격자자료로 산출한 다음 각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격자를 평균하여 행정구역별 자료를 생산하였음. 고해상도 격자형 관측자료 산출방법은 MK-PRISM을 적용하였음(김맹기 등, 2012)

제공정보

종류 : MK-PRISM(ver 1.1), MK-PRISM(ver 1.2), MK-PRISM(ver 2.1)

기간: 2000년~2010년(ver 1.1), 2000년~2017년(ver 1.2), 2000년~2019년(ver 2.1)

요소: 기온(평균, 최고, 최저), 강수량, 극한기후지수 27종

시간분해능: 기후요소(월, 연), 극한기후지수(연)

[MK-PRISM이란?] 기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DEM(Digital Elevation Model)고도, 거리, 지향면(topographic facet), 해양도(coastal proximity)의 영향을 고려하여 고해상도 격자 자료를 산출하는 PRISM(Parameter-elevation Regression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을 남한 1km 격자에 적합하게 수정한 한국형 PRISM이다.
시나리오자료 활용법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매뉴얼’(PDF)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 위의 내용은 웹에서 표출되는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시나리오별 대용량 데이터는 다운로드(데이터) 메뉴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격자기후자료 2종(ver 1.1, ver 1.2, ver 2.1)의 변화경향과 편차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격자기후자료란?] 한반도의 고해상도 격자형 관측자료를 의미하며 75개의 종관기상관측지점(ASOS)과 462개의 자동기상관측지점(AWS)을 포함하여 총 537개의 관측 지점의 자료를 사용하였음. 관측지점 별 거리, 고도, 지향면, 해양도를 고려한 관측자료를 내삽하여 1km 해상도의 격자자료로 산출한 다음 각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격자를 평균하여 행정구역별 자료를 생산하였음. 고해상도 격자형 관측자료 산출방법은 MK-PRISM을 적용하였음(김맹기 등, 2012)

제공정보

제공지역 :남한, 광역·기초 지자체

요소 : 기온(평균, 최고, 최저), 강수량, 극한기후지수 27종

기간 : 2001~2010년(버전 1.1), 2001~2017(버전 1.2), 2000~2019(버전 2.1)

※ 버전 1.2의 2000~2017년 자료는 [다운로드-데이터]에서 다운로드 가능

시간분해능 : 기후요소(월), 극한기후지수(연)

[극한기후지수] 열대야일수, 폭염일수, 여름일수, 식물성장가능기간, 일교차, 온난일, 온난일계속기간, 최대온난일 계속기간,
온난야, 일최고기온 연최대, 일최저기온 연최대, 서리일수, 결빙일수, 한파일수, 한랭일, 한랭야 계속기간, 최대한랭야 계속기간,
한랭야, 일최고기온 연최소, 일최저기온 연최소, 강수강도, 호우일수, 최대무강수지속기간, 1일 최다강수량, 5일 최다강수량,
95퍼센타일 강수일수, 99퍼센타일 강수일수

분석방법

변화경향, 평년편차(평년값: 2001 ~ 2010), 발생빈도

변화경향 산출방법

분석자료의 시계열 추세율은 최소제곱법을 이용한 선형회귀를 이용

최소제곱법(Method of least squares)

최소제곱법

기울기인 a가 추세율을 나타냄

※ 최소제곱법에 의한 추세율은 분석기간에 따라 추세율이 변동될 수 있음

기간 용어 정의

임의기간 : 원하는 기간(연)의 자료를 월, 계절, 연 단위로 나누어 표출할 수 있음

임의누년 : 원하는 기간(연)의 월, 계절 단위의 누적 자료를 표출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