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응용정보
기후변화 응용정보
기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지표가 그 지역의 평균적인 날씨밖에 없는 것일까?
기후는 농업, 보건, 에너지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막연하게 각 분야에서 기후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정량화 된 지표가 요구되기 시작했다.
이에 각 분야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게 되었고, 여러 종류의 기후응용정보를 생산하였다.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열지수와 불쾌지수, 작물생육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유효적산온도와 생육온도일수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기후응용정보는 기후정보를 다양한 분야의 정보와 접목시켜 수요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기후변화연관어
유효적산온도
생육온도일수
열지수
최저기온지수
유효강우지수
기후변화 응용정보
-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부문별(농업, 방재, 보건, 수자원, 산림, 동물생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등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미래 전망정보이다.
구분 | 수자원 | 보건 | 농업 | 재해 | 산림 | 동물생태 |
---|---|---|---|---|---|---|
대상 시나리오 |
RCP 4종 | |||||
생산 요소 |
중권역별 강수량 유출량 잠재증발산량 유황분석정보 |
열지수, 불쾌지수, 체감온도(AT), 체감추위지수, 열체감지수, Net EffectiveTemperature(NET), 열사병발생위험지수, 온열지수(WBGT) |
생육온도일수, 유효적산온도, 식물기간, 작물기간, 무상기간, 작물 저온요구도, 온습도지수, 기후생산력지, 난방도일, 냉방도일, 기준증발산량, 엽면수분지속기간 |
표준강수지수(SPI), 독립호우사상 |
최저기온지수, 유효강우지수, 건조강도지수 |
물새류월동환경지수, |
기간 | 2000~21000년 | 1950~2005년 2013~2100년 |
1971~2100년 2011~2100년 |
2012~2100년 | 2011~2100년 | 2011~2100년 |
시간 해상도 |
일/월 | 월 | 순(10년 평균) | 월 | 연 | 연 |
공간 해상도 |
중권역(104개), 73개 지점 |
230개 시군구 | 230개 시군구, 격자(12.5km / 1km) |
73개 지점 | 230개 시군구 | 230개 시군구 |
유효적산온도
-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열량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일평균기온에서 생육한계온도(5℃, 10℃, 15℃ 기준)를 뺀 값을 합한 것이다.
생육온도일수
- 작물별 기본온도와 일평균온도의 차를 생육기간 동안 합한 값이다(작물의 재배적지 및 품종 선택 지표).
열지수
- 건구온도와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일사병, 열경련 등 열적 스트레스의 위험도를 나타낸 지수(6~9월).
최저기온지수
- 최한월 평균 최저기온을 이용하여 식생의 내한성(Cold resistance)을 표현하는 지표
- Neilson(1995)에 따르면 최한월 평균 최저기온은 산림의 생육과 분포, 생장 등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예를 들어, 최한월 평균 최저기온이 18℃ 이상인 경우 상록활엽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고, -15℃ 이하인 경우 상록침엽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 월 평균 최저기온이 약 1.5℃인 곳에서는 낙엽활엽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Neilson, 1995)
유효강우지수
- 유효강우지수(PEI)는 강수량과 기온의 혼합지수로 Thornthwaite(1948)에 의해 개발되었다.
- 월 강수증발산비율(PE ratio)로부터 도출된 유효강우지수는 식물의 생장과 분포 등과 관계가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수량에 의한 분포 변화의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산림 지수에 해당한다.
이전 페이지 | 현재 페이지 | 다음 페이지 |
---|---|---|
기후변화 영향 | 기후변화 응용정보 | 기후와 기후변화 정의 |